티스토리 뷰

해루질 전 반드시 알아야 할 금어기와 금지체장, 어디서 확인할지 막막하셨나요?

 

이 글 하나면 주요 어종별 규정, 지역별 차이, 위반 시 처벌까지 5분 만에 완벽하게 해결! 지금 바로 확인하고 안전하고 합법적인 해루질을 즐기세요.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서해 해루질 대표장소

 

남해 해루질 대표장소

 

국립수산과학원 공식 금어기 정보

 

 

 



 

 

 

 

목차

 

금어기·금지체장이란? 기본 개념과 중요성

금어기는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 특정 어종의 포획이 전면 금지되는 기간을 말합니다.

산란기 어미와 새끼 보호를 목적으로 하며, 예를 들어 낙지는 6월 1일부터 30일까지 전국적으로 채취가 금지됩니다.


금지체장은 포획 가능한 최소 크기 규정으로, 꽃게의 경우 등딱지 너비 6.4cm 미만이면 연중 포획이 금지됩니다.

 

이 규정들은 수산자원관리법 제14조에 근거하며, 위반 시 최대 2년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이 부과됩니다.

 

2023년 11월 개정안에서 백합, 털게, 닭새우 등 12종의 금어기가 삭제되었으나, 주요 어종은 더욱 강화된 규제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해루질을 즐기는 비어업인도 동일하게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단속은 드론과 CCTV를 활용해 전보다 엄격해졌습니다.

 

 

주요 어종별 금어기·금지체장 총정리 (2025년 기준)

2025년 최신 기준으로 해루질에서 자주 접하는 어종별 규정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낙지는 6월 1일~30일 전국 금어기(단, 인천·경기는 6.21~7.20, 경남은 6.16~7.30).

 

꽃게는 6월 21일~8월 20일 금어기이며, 6.4cm 미만은 연중 포획 금지.

 

소라는 6월 1일~8월 31일 금어기(제주 7.1~8.31, 울릉도 6.1~7.31). 단, 해루질에서 흔히 잡는 피뿔고둥은 규제 대상 제외.

 

주꾸미는 5월 11일~8월 31일 전국 금어기로 가장 긴 제한 기간을 가집니다.

 

키조개는 7월 1일~8월 31일 금어기, 해삼은 7월 1일~31일 금어기입니다.

 

2023년 개정으로 백합, 털게, 곰피 등은 금어기에서 완전히 해제되었으나, 어린 개체 포획은 자제해야 합니다.


2025년 해루질 주요 어종별 금어기·금지체장 요약
어종 금어기 금지체장 특이사항
낙지 6.1~6.30 (전국)
*인천·경기: 6.21~7.20
없음 지역별 차이 큼
꽃게 6.21~8.20 6.4cm 미만 연중 금지 암컷(외포란) 전면 포획 금지
소라 6.1~8.31
*제주: 7.1~8.31
5cm 미만(참소라 한정) 피뿔고둥 규제 없음
주꾸미 5.11~8.31 없음 가장 긴 금어기
키조개 7.1~8.31 각장 7cm 미만 서해안 주의

 

지역별 특이사항과 확인 방법

 

금어기와 금지체장은 지역에 따라 상이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제주도는 해 질 후 해루질 전면 금지(「제주특별자치도 고시 제2021-86호」).

 

울릉도는 소라 금어기가 6월 1일~7월 31일로 타 지역보다 짧으나, 해삼 채취는 완전 금지. 연평도 등 서해 5도서는 꽃게 금어기가 7월 1일~8월 31일로 단축됩니다.

 

강원도는 2024년 전국 최초로 마을 어장 내 해루질을 금지하는 조례를 제정했습니다.

 

지역별 최신 정보는 국립수산과학원 홈페이지 또는 해양수산부 앱에서 확인 가능하며, 현지 어촌계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제주를 시작으로 해양보호구역에서 비어업인의 해루질이 전면 금지될 예정이니 사전 확인이 필수입니다.

 

국립수산과학원 공식 금어기 정보

 

 

위반 시 처벌과 예방 꿀팁

금어기·금지체장 위반 시 수산자원관리법 제64조에 따라 어업인은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비어업인은 80만 원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2024년 강화된 단속으로 드론, 위성모니터링, 현장 순찰이 확대되어 위반 적발률이 40% 증가했습니다.

 

예방을 위해 반드시 국가법령정보센터(law.go.kr)에서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 별표1·2'를 확인하세요. 모바일 앱 '바다의 법률'은 GPS 기반으로 현 위치의 규정을 실시간 알려줍니다.

 

위반 사례 중 70%가 금지체장 미준수(특히 꽃게 6.4cm 미만)이므로, 측정 도구를 항상 휴대하고 의심스러운 개체는 촬영 후 방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단속 피하려는 고의적 위반은 벌금이 1.5배 가중됩니다.

 

 

안전한 해루질을 위한 필수 가이드

합법적 해루질을 위해 허용 장비(집게, 호미, 손)와 금지 장비(스쿠버 장비, 작살, 투망)를 반드시 구분하세요.

 

공유수면(어업권 미설정 구역)에서만 해루질이 가능하며, '개방해' 앱으로 양식장 위치를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안전 수칙으로는

① 물때 확인(간조 2시간 전 출발)

② 2인 1조 원칙

③ 구명조끼·호루라기 착용

④ 쓰레기 되가져오기가 필수입니다.

 

해루질 전 해양경찰 앱에 계획 제출 시 위험 구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우줄기밭(무의도), 갯고랑(태안) 등 사고 다발 지역은 절대 접근하지 마세요. 최근 3년간 해루질 사고 62%가 금어기 기간에 발생했으므로, 규정 준수는 생명 보호의 첫걸음입니다.

 

해루질 안전·규정 준수 체크리스트
구분 필수 확인 사항 추천 툴
법규 확인 금어기·금지체장, 허용 장비, 어업권 구역 국가법령정보센터, 해양수산부 앱
장소 확인 공유수면 여부, 위험 지역(물골, 갯고랑) 개방해, 해양

 

 

💕💕💕👇👇아래 내용들도 함께 보시면 즐거운 해루질에 도움이 됩니다. 

 

 

여수 해루질 포인트, 돌산 방파제, 웅천친수공원 잡히는 어종부터 물때까지 5분 총정리!

여수 해루질,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라면? 이 글 하나면 대표 포인트, 계절별 어종, 황금 물때, 준비물, 안전수칙까지 완벽하게 해결! 지금 바로 확인하고 안전하게 즐기는 여수 해루질

ddok458.tistory.com

 

 

인천 무의도 무의대교 하나개해수욕장 해루질 명소 총정리, 포인트부터 꿀팁까지 5분 정리!

무의도 해루질, 어디서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라면? 이 글 하나면 주요 명소, 잡히는 어종, 물때, 준비물, 안전수칙까지 완벽하게 해결! 지금 바로 확인하고 안전하고 즐거운 해루질 여행

ddok458.tistory.com